한신 백화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신 백화점은 1933년 일본 오사카에 개점한 백화점으로, 한신 전기 철도의 부대 사업으로 시작되었다. 1951년 한신 백화점으로 상호를 변경하고, 1957년 법인으로 독립했다. 2000년 경왕백화점과 제휴를 맺고, 2007년 한큐 백화점과 경영 통합하여 한큐한신백화점의 운영이 되었다. 현재 우메다 본점, 미카게점, 니시노미야점, 아마가사키점 등 4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으며, 한신 타이거스 우승 시 기념 세일을 진행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백화점 - 미쓰코시
미쓰코시는 1673년 기모노 판매점 에치고야로 시작하여 현금 판매와 정찰제를 도입, 일본 최초 백화점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이세탄 미쓰코시홀딩스의 일부로 일본 및 해외에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가진 백화점이다. - 일본의 백화점 - 세이부 백화점
세이부 백화점은 1928년 다루마야 창업으로 시작하여 1949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된 일본의 대표적인 백화점으로, 이케부쿠로 본점 중심 성장, 혁신적인 경영, 경영 위기, 재건, 해외 진출 등을 거치며 일본 유통업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독자적인 이미지를 구축해왔다. - 우메다 - 오사카 가든 시티
오사카 가든 시티는 오사카 니시우메다 지역의 대규모 복합 개발 사업으로, 고급 호텔, 기업 본사, 쇼핑몰, 공연장, 병원, 녹지 공간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교통 인프라 구축과 지하 보행로 개통으로 지역 발전에 기여했다. - 우메다 - 니시우메다역
니시우메다역은 오사카 메트로 요쓰바시선의 역으로, 우메다 지역 교통 허브와 연결되어 다수의 철도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섬식 승강장과 각종 편의시설을 갖추고 주변에 상업시설과 호텔이 밀집해 있고, 장래에는 요쓰바시선 연장 계획에 따라 주소역까지 연결될 예정이다. - 한큐 한신 도호 그룹 - 한큐 고베 본선
한큐 고베 본선은 오사카와 고베를 잇는 32.3km의 복선 전철 노선으로,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현재 신역 설치 계획과 고베 시영 지하철 직통 운전이 검토되고 있다. - 한큐 한신 도호 그룹 - 한신 난바선
한신 난바선은 아마가사키역과 오사카난바역을 잇는 한신 전기철도의 노선으로, 덴포선으로 개통하여 니시오사카선을 거쳐 2009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킨테쓰 난바선과의 직결 운행을 통해 광역적인 운행을 실시하는 총 연장 10.1km의 복선 전철 노선이다.
한신 백화점 | |
---|---|
지도 | |
기본 정보 | |
회사 명칭 | 주식회사 한신백화점 |
영문 회사 명칭 | The Hanshin Department Store, Ltd. |
![]() | |
모기업 | 한신전기철도 주식회사 |
후신 | 주식회사 한큐한신백화점 |
설립일 | 1947년 6월 30일 |
해산일 | 2008년 10월 1일 |
소재지 |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기타구 우메다 1초메 13-13 |
산업 | 소매업 |
재무 정보 | |
자본금 | 43억 5877만 9876엔 (2006년 3월 31일 기준) |
매출액 | 1126억 4500만 엔 (2006년 3월기) |
총 자산 | 488억 7000만 엔 (2006년 9월 30일 기준) |
종업원 수 | 1027명 (2006년 9월 30일 기준) |
결산기 | 3월 31일 |
주주 정보 | |
주요 주주 | H2O 리테일링 100% |
자회사 | |
주요 자회사 | 한신상사 주식회사 |
관련 인물 | |
관련 인물 | 가사이 게이스케 (전 사장) 사에구사 데루유키 (전 사장, 회장) |
기타 | |
특이 사항 | 1966년 12월에 주식 액면 변경으로 인해, 같은 날 이전에 있던 (2대) 주식회사 한신백화점(1957년 4월 17일 설립)을 흡수 합병하여 현 상호로 변경. 2008년 10월 1일부로 주식회사 한큐백화점과 합병하여, 주식회사 한큐한신백화점이 되어 해산. |
공식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937년 1월 22일 초대 ㈜한신백화점이 설립되었으나[8], 전시 체제 강화로 백화점 개업이 불가능해져 소멸되었다.[11] 1957년 4월 17일 2대 ㈜한신백화점이 재설립되어[9] 백화점 영업을 시작했다.
1966년 12월, 주식 액면 변경을 위해 1947년 6월 30일 설립된 기업이 존속 법인이 되어 2대 ㈜한신백화점을 흡수 합병, 3대 ㈜한신백화점이 되었다.[9] 1967년 10월 30일 오사카 증권거래소 2부에 상장,[9] 1969년 2월 1부로 승격되었다.[9] 2005년 10월 1일, 그룹 재편에 따라 한신백화점 주식 1주당 한신 전기철도 주식 1.8주를 배정하는 주식 교환으로 한신전기철도의 완전 자회사가 되었고, 2005년 9월 27일 상장 폐지되었다.[32]
상장 폐지일에 무라카미 요시아키가 이끄는 무라카미 펀드가 한신백화점 주식 18.19%를 보유한 사실이 밝혀졌다.[31] 한신전기철도 주식으로 교환되어 무라카미 펀드의 한신전기철도 지분율이 38.1%가 되자, 한큐홀딩스(현 한큐한신홀딩스)가 화이트 나이트로 나서 무라카미 펀드 소유 주식 전량을 취득, 전철 발행 주식의 64.76%를 보유하며 한신전기철도는 한큐홀딩스의 자회사가 되었다.
같은 한큐한신토호 그룹 소속 한큐백화점과의 제휴가 한큐한신홀딩스 통합 이후[33] 검토,[3] 2007년 10월 1일 한큐백화점과 경영 통합, H2O 리테일링의 완전 자회사가 되었다.
2008년 10월 1일, 백화점 운영 회사 통합을 위해 ㈜한큐백화점이 ㈜한신백화점을 흡수 합병, '''㈜한큐한신백화점'''으로 상호를 변경하며 ㈜한신백화점은 소멸했다.[5]
이후 한신 백화점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사건 |
---|---|
1933년 | 한신 전기철도 구 우메다 정류장에 시라키야 阪神출장점 개업.[6], 한신 전기철도 부대 사업으로 구 우메다 정류장에 阪神마트 개업.[9] |
1940년 | 우메다 阪神빌딩(후의 오사카 신빌딩) 지상 4층, 지하 2층으로 잠정 준공, 阪神마트 이전.[12] 전시에는 阪神지하대점으로 개칭. |
1951년 | 매장 1층 확장, 阪神백화점으로 상호 변경.[13] |
1957년 | 阪神전기철도로부터 백화점 사업 분리 독립, 2대째 주식회사 阪神백화점 설립.[7] 6월 1일 - 阪神전기철도로부터 영업양도를 받아 백화점 개업.[12] |
1958년 | 우메다 阪神빌딩 5층~8층 증축.[9] |
1962년 | 노동조합 파업 실시.[50] |
1963년 | 우메다 阪神빌딩 서측 확장 공사 완료, 「오사카 신빌딩」으로 개칭.[7] |
1964년 | 한신 타이거스 우승 카니발 개최. |
1967년 | 오사카 증권거래소 제2부 상장.[9] |
1969년 | 오사카 증권거래소 제1부 상장.[9] |
1974년 | 「오사카 신빌딩」 전관 阪神백화점으로 전환. |
1978년 | 제1차 스토어 리프레시, 현행 로고로 변경. |
1980년, 1983년 | 제2차, 제3차 스토어 리프레시. |
1985년 | 한신 타이거스 우승 기념 세일 및 일본 제일 세일 개최. |
1995년 | 대만 가오슝시에 한신백화점 개업.[51] |
2000년 | 게이오 백화점(도쿄도신주쿠구)과 제휴.[29] |
2002년 | 외벽 리뉴얼 공사 완료. |
2003년 | 구마모토현구마모토시에 구마모토 阪神 개업.[52] 3월 18일 - 에비스타 니시노미야 내 阪神·니시노미야 개업.[14] 9월 - 한신 타이거스 우승 기념 세일 개최. |
2005년 | 9월 27일 상장 폐지.[32] 9월~10월 - 한신 타이거스 우승 기념 세일 개최. 10월 1일 - 주식 교환으로 阪神전기철도 완전 자회사화.[32] |
2006년 | 나라현야마토코리야마시 이온몰 야마토코리야마 출점 계획 발표[26] 후 철회.[27] 9월 22일 - 한큐백화점과 포괄적 업무 제휴. 10월 4일 - 산노미야역 앞 민트 고베에 산노미야·阪神식품관 개업.[15] |
2007년 | 10월 1일 - 주식 교환으로 에이치·투·오 리테일링 완전 자회사, 한큐백화점과 경영 통합.[3] |
2008년 | 阪神전기철도 미코게역 앞 미코게 클라세에 阪神·미코게 개업.[16] 10월 1일 - 운영회사 합병, 주식회사 한큐한신백화점 운영.[5] |
2009년 | 阪神·미코게 식품 매장 75% 한큐 오아시스 경영 전환.[21] 10월 20일 - JR 니시나카역 앞 아마가사키 큐즈몰에 아마가사키 阪神 개업.[17] |
2010년 | 산노미야·阪神식품관 휴업[24] 후 12월말 폐점.[24] |
2011년 | 구마모토·현민백화점과 업무 지원 계약 만료, 구마모토 철수. 7월 24일 - 阪神·미코게 2층 매장 폐쇄, 매장 면적 804m2로 축소.[4] |
2014년 | 우메다 본점 「고향 명산」 폐점. |
2015년 | 오사카 우메다 트윈타워즈·사우스(I기 동) 건설, 오사카 신빌딩 동측 부분 폐쇄. |
2016년 | 아마가사키 阪神 2층 매장 폐쇄[83], 매장 면적 2855m2로 축소.[53] |
2018년 | 오사카 우메다 트윈타워즈·사우스(I기 동) 준공, 오사카 신빌딩 서측 부분 폐쇄. 6월 1일 - 우메다 본점 이전.[41] |
2022년 | 오사카 우메다 트윈타워즈·사우스(II기 동) 그랜드 오픈. |
2023년 | 우메다 DT 타워 지하 2층 「디어몰 피오레」 폐관, 「阪神백화점 릴락시아」 영업 종료[54] 후 우메다 본점 이전.[55] |
2. 1. 설립 배경 (1920년대 ~ 1940년대)
1920년대 중반, 오사카 지역의 교통 중심지였던 우메다역을 중심으로 백화점 설립이 추진되었다. 1925년 한신 급행전철(현재의 한큐 전철) 우메다역 구내에 있던 시라키야(白木屋) 출장소가 계약 만료로 철거되자, 1926년 한신 전기철도 우메다역 구내에 시라키야 한신출장점을 개업하면서 터미널 백화점(역과 직결된 백화점)의 역사가 시작되었다.[6]다이쇼 시대 말, 오사카시영지하철(현재의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 1호선 신설 계획에 따라 한신 전기철도는 오사카시로부터 역 이전 및 노선 연장을 요구받았다. 한신 전기철도는 연장 비용 회수를 위해 1929년 오사카시에 백화점 용지 분양을 요청했고,[7] 1930년 고시마야(髙島屋)와 건물 임대 예약 각서를 교환했다.[7] 초기에는 직접 운영이 아닌 임차인을 통한 백화점 개설을 계획했다.[7]
1933년 3월, 한신 전기철도는 우메다역 구내 매장에 직영 '한신 마트'를 개업하여 직접 백화점 경영을 시작했다.[9] 1937년 1월 22일, 한신 전기철도 이사회는 한신 빌딩의 백화점을 별도 회사인 주식회사 한신백화점으로 운영하기로 결정하고, 한신 전기철도가 모든 주식을 인수하는 완전 자회사로 설립하여 사실상 직영 체제로 전환했다.[8]
같은 해 3월, 백화점 부지를 확보했으나, 한신 급행전철이 우메다역 혼잡 완화를 이유로 건물 건설 예정지 서쪽을 매입하면서[8][10] 오사카시, 중앙 정계 및 관청을 끌어들여 토지 취득 분쟁이 발생했다. 1938년 5월 19일, 오사카시의 결정으로 용지 취득에 성공했다.[8]
그러나 전시 체제(제2차 세계 대전)로 인해 1938년 7월 백화점 등 고층 건물 건축 중지 명령이 내려졌고,[11] 백화점법 허가도 받지 못해[11] 계획 실현이 어려워졌다. 1940년 5월 26일, 지상 8층 예정이었던 건물은 지상 4층, 지하 2층으로 축소되어 우메다 한신 빌딩(후의 오사카 신비(神ビ)의 동쪽 부분) 지하 1층에 '한신 마트'를 이전하여 규모를 대폭 축소하여 개업했다.[12]
2. 2. 확장과 백화점 개업 (1950년대 ~ 1960년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한신 전기철도는 백화점 사업 구상을 다시 실현하기 위해 1951년 '''전국 명과 명물 거리'''를 개업하고,[7] 11월 1일 매장을 1층까지 확장하면서 '''한신 백화점'''으로 상호를 변경했다.[13] 1952년에는 1층에 교토·한신 지역의 고급 단맛·매운맛 전문점을 모아 '''한신 단맛·매운맛 노렌 거리'''를 개설하는 등,[13] 전문점을 유치하여 위탁 부문을 우선하는 경영 방침을 취했다.[13]1957년 4월, 2대째 주식회사 한신 백화점을 설립하고,[7] 같은 해 6월 1일에 백화점을 개업하면서[12] 한신 전기철도 우메다 정류장에서 바로 입점할 수 있는 출입구를 설치하여[7] 터미널 백화점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했다. 또한, 거래처의 노하우를 활용하는 위탁 우선·전문점 유치 방침으로 영업을 시작했다.[13]
이후 증축 공사를 시작하여 1958년 3월에 우메다 한신 빌딩(당시)의 5층부터 8층까지 증축해 동쪽 부분을 완성했다.[9] 1963년 6월에는 서쪽 부분을 증축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초기 구상했던 매장 면적을 확보,[7] 현재 규모의 점포가 되었다. 이때 빌딩 명칭을 「오사카 신 빌딩」으로 변경했다.
2. 3. 식품 판매 강화와 다점포화 (1970년대 ~ 2000년대)
1951년 '전국 명과 명물 거리', 1952년 '한신 감칠맛 나는 노렌 거리' 등 개성 있는 상점들을 모아 명물 거리와 각지의 명물 식품을 판매한[13] 전통을 바탕으로, 2005년 3월기 매출액 1095.06억엔 중 식료품이 415.23억엔으로 약 40%를 차지했다.[9] 우메다 본점의 식품 매장은 "일본 제일의 데파 지하"(지하 식품 매장)라고 불릴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오랫동안 우메다 본점만 운영하는 안정적인 경영을 해왔지만, 모회사인 한신 전기철도(阪神電気鉄道)가 2003년 3월 18일 阪神 니시노미야역 고가하부에 개업한 에비스타 니시노미야(エビスタ西宮) 내에 매장면적 4998m2의 '''한신·니시노미야(阪神・にしのみや)'''를 개점[14]하면서 다점포화를 시작했다. 2006년 10월 4일에는 산노미야(三宮)역 앞 고베 신문(神戸新聞) 본사 빌딩인 민트 고베(ミント神戸) 지하 1층에 식품 매장만으로 매장면적 1276m2의 '''산노미야·한신 식품관(さんのみや・阪神食品館)'''[15]을, 2008년 3월 20일에는 한신 전기철도 미코게(御影)역 앞 미코게 클라세(御影クラッセ) 내에 매장면적 5900m2의 '''한신·미코게(阪神・御影)'''[16]를, 2009년 10월 20일에는 JR 아마가사키(尼崎)역 앞 아마가사키 큐즈몰(あまがさきキューズモール) 내[17]에 매장면적 5329m2의 '''아마가사키 한신(あまがさき阪神)'''을 차례로 개점하여 그룹의 기반인 한신 지역에서 소규모 점포를 통한 다점포화를 추진했다.
그러나 '''한신·니시노미야(阪神・にしのみや)'''는 1년차에 목표를 웃도는 연간 매출 약 57억엔을 달성했지만[18], '''한신·미코게(阪神・御影)'''는 2009년 3월기에 연간 매출 약 29.56억엔[19]에 그쳐 목표 50억엔[20]을 크게 밑돌았다. 그 결과, 개점 후 1년 반도 안 된 2009년 8월 5일에 부진했던 식품 매장의 75%에 해당하는 2080m2를 자매회사인 식품 슈퍼마켓한큐 오아시스(阪急オアシス)의 경영으로 전환하여 규모를 축소했고,[21], 2010년 3월기에 연간 매출 약 12.01억엔[22]로 부진하여 적자를 기록했던 '''산노미야·한신 식품관(さんのみや・阪神食品館)'''[23]은 그 기말에 일시 휴업한 후 같은 해 12월 말에 영업을 재개하지 않고 공식적으로 폐점했다.[24] 2011년 7월 24일에는 '''한신·미코게(阪神・御影)'''의 2층 매장을 폐쇄하여 두 번째 규모 축소를 단행, 매장면적을 804m2까지 줄였다.[25] '''아마가사키 한신(あまがさき阪神)'''도 적자는 아니었지만 2011년 3월기에 연간 매출 약 36.33억엔, 2012년 3월기에 연간 매출 약 37.27억엔으로 1년차 매출 목표 40억엔을 계속 밑돌았고, 2016년에는 2층 매장을 폐쇄하는 등 다점포화가 반드시 성공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한신 지역 외에도 2006년 7월 26일 나라현(奈良県) 야마토군산시(大和郡山市)의 이온몰 야마토군산(イオンモール大和郡山)에 매장면적 약 10000m2로 출점할 계획이 발표되었지만,[26] 한큐 백화점(阪急百貨店)과의 업무 제휴를 위한 경영 방침 재검토의 일환으로 출점 지역을 게이한신(京阪神) 지역에 집중하기로 하면서 같은 해 11월 10일 출점 계획을 철회했다.[27][28]
2. 4. 한큐와의 합병과 우메다 본점 재건축 (2000년대 후반 ~ 현재)
2000년부터 경왕전철 산하 경왕백화점과 업무 제휴를 맺고 남성복 공동 기획, 역벤 행사 정보 교환 등을 진행했다.[29] 2002년에는 경왕백화점 신주쿠점에 "한신 타이거스 샵"을 개설했고,[29] 2003년 한신 타이거스 우승 세일을 공동 개최했다.[30]1966년 3대 ㈜한신백화점이 설립되었고,[9] 1967년 오사카 증권거래소 2부에 상장되었다가,[9] 1969년 1부에 상장되었다.[9] 그러나 그룹 재편으로 2005년 한신전기철도의 완전 자회사가 되면서 상장 폐지되었다.[31][32] 이후 무라카미 펀드가 한신백화점 주식을 대량 보유한 사실이 밝혀졌고,[31] 한큐한신홀딩스가 화이트 나이트로 나서면서 한신전기철도는 한큐홀딩스의 자회사가 되었다.
2007년, 한큐백화점과의 경영 통합으로 H2O 리테일링의 완전 자회사가 되었다. 2008년에는 ㈜한큐백화점이 ㈜한신백화점을 흡수 합병하여 '''㈜한큐한신백화점'''으로 상호를 변경했다.[5]
2006년, 한큐홀딩스는 우메다 본점 재건축 계획을 발표했고,[34] 2007년에는 인접 건물과 통합하여 전면 재건축하기로 결정했다.[34] 2008년에는 2단계 재건축 구상으로 변경되었으나,[35] 2011년 계획이 연기되었다.[37]
2013년, 한큐한신홀딩스는 한신백화점 우메다 본점 재건축 방침을 확정하고, 한신전기철도와 재건축을 위한 구체적인 검토에 들어갔다고 발표했다.[38][39] 2014년에는 오사카 신빌딩과 신한큐빌딩을 재건축하여 2018년 봄 백화점을 일부 선개장하고 2021년 가을경 전면 개장을 목표로 한다고 발표했다.[40]

1단계 건물은 2018년에 준공되었고, 같은 해 6월 1일 한신우메다 본점이 이전했다. 건물 이름은 「오사카우메다 트윈타워스 사우스」가 되었다.[41] 2단계 건물은 2021년 10월 8일에 선행 개점했고, 2022년 4월 6일에 전면 개점하여 그랜드 오픈을 맞이했다. 한큐백화점 우메다 본점이 입점하는 우메다 한큐 빌딩도 「'''오사카우메다 트윈타워스'''」로 총칭한다.[43]
3. 점포
한신 백화점은 오사카 우메다 본점을 중심으로 여러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우메다 본점은 한신 전기철도 오사카우메다역 바로 위에 위치하며, 지하 1층과 바로 연결되어 있어 접근성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지하철 우메다역, 니시우메다역, 히가시우메다역과도 인접해 있다.
우메다 본점은 '식(食)의 한신'이라고 불릴 정도로 식품 매장이 유명하며, 지하 1층의 '스낵 파크'는 1957년 개점 당시 '오야쓰 센터'로 시작하여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이곳에서는 오징어구이, 초보야키, 양배추구이 등 다양한 음식을 저렴하고 빠르게 즐길 수 있다. 8층에는 한신 타이거스 팬들을 위한 '한신 타이거스 숍'이 있다.
한신 백화점은 우메다 본점 외에도 니시노미야, 미카게, 아마가사키에 점포를 두고 있으며, 각 점포는 지역 특성에 맞는 상품 구성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니시노미야점은 에비스타 니시노미야 내에 위치하며,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경쟁이 적은 지역 특성을 바탕으로 식품 매장을 강화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아마가사키점은 아마가사키 큐즈몰에 위치하며, 젊은 가족층을 타겟으로 한 상품 구성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카게점은 미카게 클라세 내에 위치하며, 지역 주민의 일상적인 이용을 목표로 식품 매장을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나, 실적 부진으로 규모가 축소되었다.
과거에는 산노미야와 수이타에도 점포가 있었으나, 현재는 영업을 종료했다. 산노미야·한신식품관은 산노미야역 앞 상업시설인 민트 고베 지하 1층에 있었으나, 실적 부진으로 폐점했다. 수이타점은 수이타역 앞 재개발 빌딩에 출점할 예정이었으나, 우메다 본점 증축 이후 실적 부진으로 출점을 포기했다.
해외 점포로는 대만 가오슝에 가오슝 한신 백화점이 있다.
3. 1. 현존 점포
- '''한신 우메다점'''
:* 오사카부 기타구 우메다 1초메 13-13
:* 교통
:* 기타
::* 지하 1층에 스낵파크가 있다.
::* 8층에 한신 타이거스 숍이 있다.
- '''한신 미카게점'''
:* 고베시 히가시나다구 미카게나카마치 3초메 2-1 미카게 클라세
:* 교통: 한신 전기철도 한신 본선 미카게역
- '''한신 니시노미야점'''
:* 효고현 니시노미야시 타나카초 1-26 에비스타 니시노미야
:* 교통: 한신 전기철도 한신 본선 니시노미야역
- '''아마가사키 한신점'''
:* 아마가사키 Q's 몰 (구 COCOE), 기린 맥주 주식회사 공장이 있던 곳.
:* 교통: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 아마가사키역
- '''가오슝 한신 백화점'''
:* 타이완 가오슝
3. 2. 과거 점포
- 2011년 2월 23일, 구마모토 한신은 켄민 백화점(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에 있던 백화점)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 2015년 2월 28일, 구마모토 버스터미널 재개발로 인해 영업을 종료했다.[2]
- '''산노미야·한신식품관'''[93]
2006년 10월 4일[73], 산노미야역 앞 상업시설·민트 고베 지하 1층[24] 전부를 사용, 식품을 중요시하는 주부층과 통근, 통학객을 타겟으로 백화점 지하 식품매장의 노하우를 살려[95] 빵, 양과자, 반찬 등[96] 백화점다운 고급 식재료를 갖추고[18] 개업했다.
하지만, 2008년 3월기는 약 14.63억엔[73], 2009년 (헤이세이 21년) 3월기는 약 13.34억엔[19], 2010년 3월기 연간 매출이 약 12.01억엔[22]으로 부진하여 적자를 기록하면서 매년 매출이 감소했기 때문에, 2010년 4월 1일부터 일시 휴업[24][96]하고 개장 및 임대료 인하 협상 등을 진행했지만 흑자 전환의 전망이 보이지 않아[97], 같은 해 12월 31일에 정식으로 폐점했다.[56][24][97]
: 국철 수이타역 앞 재개발 빌딩의 핵심 점포로 출점이 확정되었으나, 1975년(쇼와 50년) 9월 29일에 우메다 본점 증축 이후 실적 부진과 급격한 사회 변화를 이유로 출점을 포기했다.[99]
3. 3. 해외 점포 (제휴)
1989년, 한신 백화점은 한양건설 등 현지 자본과 제휴하여 대만 가오슝시에 5%를 출자, 현지 발음으로 "한신"이 되는 '''한신백화점(漢神百貨)'''을 설립했다.[86] 1995년 5월에 개업한 가오슝 한신 백화점은 업무 및 자본 제휴를 맺고 있으며,[51] 영어 로고는 한신(阪神)과 같은 "HANSHIN"을 사용한다. 출자 비율은 5%[51]로, 지분법 적용 대상은 아니다. 가오슝 한신 백화점은 가오슝시 치엔진구와 가오슝시 자오잉구(아레나 쇼핑플라자)에 매장을 두고 있으며, 중국 산시성 시안시에도 한신 쇼핑광장을 운영하고 있다.현지 재계가 중심이 되어 출자하여 설립한 현민백화점(구마모토시)이 이와타야(岩田屋) 철수 후 시설과 인력을 인수할 때, 한신 백화점은 영업 지원 계약을 체결하여 7.5%를 출자하고,[87] 당시 사장 미에다 테루유키(三枝輝行)가 비상근 이사에 취임했으며,[88] 3명의 간부 직원을 파견하여 업무를 지원했다.[89] 그 결과, 2003년 2월 23일 '''구마모토 한신(くまもと阪神)'''이 개업했다.[52]
구마모토 한신의 영업 지원 계약은 초기 5년이었으나, 현민백화점 측의 요청으로 3년 연장되었다.[89] 그러나 2011년 2월 23일, 계약 만료에 따라 법인명과 같은 '''현민백화점'''으로 개칭하고 한신 상표 사용을 종료했다.[52] 한신 백화점은 7.5% 출자를 유지했지만,[52] 현민백화점은 다카시마야 "하이랜드 그룹"에 가맹하는 등[89] 한신 계열에서 사실상 이탈했다.
이후 현민백화점은 2015년 2월 28일, 구마모토 교통센터의 재개발로 인해 이전을 모색했으나 단념하고 폐점·폐업했다.[91][92]
4. 한신 타이거스와의 관계
한신 타이거즈가 우승하거나 일본 시리즈에서 우승하면, 한신 백화점에서는 우승 기념 세일을 여는 것이 관례이다.
1964년에 구 오사카 신빌딩에서 처음으로 우승 기념 세일이 열렸다. 하지만 도쿄 올림픽 직전이라 올림픽 로고에 가려져 우승 기념 세일은 주목받지 못했다. 당시에는 '한신 타이거스 우승 카니발'이라고 불렀다.[44]
이후 1985년, 2003년, 2005년에 한신 타이거즈가 센트럴리그에서 우승했을 때 '한신 타이거스 (서기) 센트럴리그 우승 기념 세일'이 열렸다. 1985년 일본 시리즈 우승 때는 일본 시리즈 우승 세일도 열렸는데, 이는 구 오사카 신빌딩 역사상 유일한 일본 시리즈 우승 세일이었다. 이때 나카모리 아키나가 더 베스트텐 중계에서 폐점 후 세일장을 배경으로 '솔리튜드'를 불렀다.
2008년 10월에는 2007년 10월에 경영 통합한 에이치투오 리테일링 산하 백화점 사업 회사가 합병하여 한큐한신백화점이 발족하면서, 합병 기념 세일과 함께 '일본 제일을 향해! 한신 타이거즈 응원 세일'(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 기념)이 한신 백화점과 한큐 백화점에서 열렸다. 2010년에도 한신 타이거즈가 센트럴 리그 2위를 확정지으면서 10월 9일부터 12일까지 같은 세일이 한큐 백화점과 한신 백화점에서 열렸다.
2023년 9월 14일, 한신 타이거즈가 센트럴 리그 우승을 차지했지만, 우승 세일은 한신 백화점과 에이치투오 리테일링 산하 슈퍼마켓(한큐오아시스, 이즈미야, 카나트, 간사이 슈퍼마켓)에서만 열렸다. 한큐 백화점은 한큐 브레이브스를 보유했던 과거와 오릭스 버펄로스와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현수막만 게시했다.[45][46] 같은 간사이 지역의 긴테쓰 백화점에서는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의 후신인 오릭스 버펄로스의 퍼시픽 리그 우승 세일이 열려, 사상 최초로 한신과 긴테쓰 백화점의 우승 세일이 동시에 열렸다.[47][48] 한신 타이거즈가 일본 시리즈에서 우승하면서, 2023년 11월 6일부터 5일간 센트럴 리그 우승 때와 같은 점포에서 세일을 실시했다.[49]
5. 한큐 백화점과의 관계
미도스지를 사이에 두고 맞은편에 있는 한큐백화점 우메다본점은 식료품과 의류 양면에서 최대 경쟁 상대였다. 그러나 2007년 10월 1일 지주회사인 에이치투오 리테일링 산하에서 경영 통합을 이루었고, 이듬해 2008년 10월에는 운영회사가 합병하여 "한큐한신백화점"이 출범하면서 형제 점포 관계가 되었다.
경영 통합·합병 이후에는 공존공영할 수 있도록 상호 전략적 차별화와 동시에 상호 협력 관계가 필수적이라고 여겨지게 되었다. 2007년 4월 1일에는 경영 통합에 앞서 서로 발행한 카드를 상대 백화점에서 사용할 때에도 우대를 하였다. 2009년 8월 개장 당시 재건축 공사로 인해 매장 면적이 축소되는 한큐백화점 우메다본점으로부터 여성 의류 매장 일부를 옮겨 영(young) 고객층을 위한 상품 구성을 확충하여 상호 보완하였다.[69] 2011년 5월 11일부터는 처음으로 한큐백화점 우메다본점과 대규모 공동 행사인 "초여름 한큐·한신 대식품제"를 개최하는 등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70]
참조
[1]
웹사이트
「県民百貨店」に店名変更へ くまもと阪神
https://web.archive.[...]
Kumamoto Nichinichi Shimbun
2010-12-22
[2]
웹사이트
熊本の県民百貨店、15年2月に閉店へ 市の再開発で立ち退き
http://www.nikkei.co[...]
Nihon Keizai Shinbun
2014-08-13
[3]
뉴스
阪急・阪神百貨店が「H2O」に 1日発足
毎日新聞社
2007-10-01
[4]
보고서
エイチ・ツー・オー リテイリング株式会社 平成24年3月期 決算発表 補助資料
エイチ・ツー・オー リテイリング
2012-05-10
[5]
뉴스
阪急と阪神が合併、10月1日「阪急阪神百貨店」に
読売新聞社
2008-03-27
[6]
서적
白木屋三百年史
白木屋
[7]
서적
阪神電気鉄道八十年史
阪神電気鉄道
[8]
학술지
戦前、 阪神の百貨店構想 ‐大阪駅前の土地争いを中心として
近畿大学 通信教育部
[9]
보고서
阪神百貨店 第66期有価証券報告書
阪神百貨店
2006-06-29
[10]
뉴스
「阪神」に「阪急」挑戦ビル予定地の隣地を買占め、地下乗入へも車止め
朝日新聞社
1937-06-20
[11]
뉴스
百貨店の増新築全部に“工事中止”物心総動員へ商工省の方針決る
朝日新聞社
1938-07-05
[12]
서적
阪神電気鉄道百年
阪神電気鉄道
2005-12-27
[13]
학술지
大阪再発見VOL2 大阪ターミナルものがたり 梅田と駅のアイデンティティ
大阪ガスエネルギー・文化研究所
[14]
뉴스
阪神、阪神西宮駅高架下に商業施設3月18日にオープン
日本経済新聞社
2003-01-31
[15]
보고서
株式会社阪急阪神百貨店「さんのみや・阪神食品館」閉店について
阪急阪神百貨店
2010-12-29
[16]
뉴스
SC「御影クラッセ」オープン 核テナントに阪神百貨店 “地域密着”目指した店づくり
日本食糧新聞社
2008-03-28
[17]
뉴스
母親と子に照準 10月開業の尼崎・阪神百貨店
神戸新聞社
2009-09-18
[18]
뉴스
阪神百貨店が三宮進出 神戸新聞会館に食のフロア
神戸新聞社
2005-05-24
[19]
보고서
エイチ・ツー・オー リテイリング株式会社 第90期営業報告書
エイチ・ツー・オー リテイリング
2009-06-25
[20]
뉴스
広がるちっちゃな百貨店、阪神百貨店が御影に3店目
朝日新聞社
2008-02-21
[21]
뉴스
阪神百貨店に阪急オアシス 初の店舗連携
神戸新聞社
2009-08-01
[22]
보고서
エイチ・ツー・オー リテイリング株式会社 第91期営業報告書
エイチ・ツー・オー リテイリング
2010-06-25
[23]
뉴스
阪神阪急の県内3店赤字 現段階での撤退は否定
神戸新聞社
2010-01-29
[24]
뉴스
月末で閉店 三宮の阪神食品館
産経新聞社
2010-12-29
[25]
보고서
エイチ・ツー・オー リテイリング株式会社 平成24年3月期 決算発表 補助資料
エイチ・ツー・オー リテイリング
2012-05-10
[26]
뉴스
阪神百貨店、神戸などに中規模店出店
日本経済新聞社
2006-07-27
[27]
뉴스
阪神百貨店、「イオン大和郡山SC」への出店を中止
日本経済新聞社
2006-11-10
[28]
뉴스
阪神百貨店、大和郡山市のイオンSCへの出店を中止
朝日新聞社
2006-11-10
[29]
뉴스
京王百貨店、阪神タイガース食品コーナー常設 優勝セールも検討
日本食糧新聞社
2003-08-25
[30]
문서
경왕전철이 요미우리랜드에 출자하고 있는 관계상, 요미우리자이언츠와 친밀하다.
[31]
뉴스
村上ファンド、阪神電鉄株の38%取得
読売新聞社
2005-10-03
[32]
뉴스
阪神百、本店専門家へ大ナタ 分野絞り、品ぞろえ徹底
日本経済新聞社
2005-08-11
[33]
뉴스
阪神社長「百貨店再編、年度内に結論」
日本経済新聞社
2006-07-21
[34]
뉴스
阪急HD社長、阪神百貨店本店建て替えに意欲─改装方針「白紙に」
日本経済新聞社
2006-08-08
[35]
뉴스
阪神百貨店:建て替え 2段階で-22年秋、新阪急ビル先行
産経新聞社
2008-09-23
[36]
뉴스
阪神百貨店立て替え、新阪急ビルも高層化…ツインタワー連結
読売新聞社
2011-01-18
[37]
뉴스
阪神百貨店梅田本店、13年の建て替え延期
朝日新聞社
2011-02-19
[38]
뉴스
阪神百貨店梅田本店建て替えへ 完成まで10年程度
朝日新聞社
2013-01-04
[39]
보고서
株式会社阪急阪神百貨店 阪神梅田本店の建て替えについて
エイチ・ツー・オー リテイリング
2013-01-31
[40]
뉴스
阪神百貨店建て替え、平成30年に先行開業 新ビル完成は34年に前倒し
産業経済新聞社
2014-03-26
[41]
웹사이트
梅田1丁目1番地計画(大阪神ビルディング及び新阪急ビル建替計画) 2018年4月27日(金)にⅠ期棟が竣工、6月1日(金)には阪神百貨店が部分開業 ~ビル名称を「大阪梅田ツインタワーズ・サウス」に決定
http://www.hankyu-ha[...]
阪神電気鉄道・阪急電鉄・阪急阪神不動産
2018-04-09
[42]
웹사이트
梅田1丁目1番地計画(大阪神ビルディング及び新阪急ビル建替計画) 2014年10月1日(水)に事業着手します ~2022年春頃の全体竣工を目指します~
http://www.hankyu-ha[...]
阪神電気鉄道・阪急電鉄
2014-09-25
[43]
웹사이트
梅田1丁目1番地計画 (大阪神ビルディング及び新阪急ビル建替計画) 2018年4月27日(金)にⅠ期棟が竣工、6月1日(金)には阪神百貨店が部分開業 ~ビル名称を「大阪梅田ツインタワーズ・サウス」に決定~
https://www.hanshin.[...]
阪神電気鉄道株式会社
2020-10-26
[44]
서적
昭和の大阪 昭和20~50年
産経新聞社
[45]
웹사이트
阪神「アレ」で阪神百貨店など感謝セール 阪急百貨店はセールなし
https://www.sankei.c[...]
2023-09-16
[46]
웹사이트
阪神優勝でも阪急百貨店がセールをやらないのはなぜ 「2つの商売」カギ
https://www.sankei.c[...]
2023-11-07
[47]
웹사이트
オリックス優勝、近鉄百貨店でも祝賀セール 阪神と「競演」
https://mainichi.jp/[...]
2023-09-21
[48]
웹사이트
オリックスV3の記念セール盛況…近鉄百貨店
https://www.yomiuri.[...]
2023-09-21
[49]
웹사이트
阪神日本一、セール開催 百貨店やスーパー
https://nordot.app/1[...]
2023-11-06
[50]
웹사이트
61年前の百貨店スト 当時の新聞見出し「お客さん、めんくらう」
https://mainichi.jp/[...]
2023-08-31
[51]
논문
台湾における小売業の進展と課題
福岡女子短期大学
2005-12
[52]
뉴스
くまもと阪神「県民百貨店」に、地域密着で生き残り、店名変更。1階にはオープンデッキ を設けるなど集客力向上を図る。
日本経済新聞社
2011-02-23
[53]
웹사이트
エイチ・ツー・オー リテイリング株式会社 平成28年3月期 決算発表 補助資料
http://www.h2o-retai[...]
エイチ・ツー・オー リテイリング
2016-05-12
[54]
웹사이트
ディアモールフィオレ閉館に伴う 各店営業終了のお知らせ
https://diamor.jp/fi[...]
2023-03-24
[55]
웹사이트
「阪神百貨店 リラクシア」 リニューアルオープンのお知らせ
https://www.hanshin-[...]
2023-03-24
[56]
보고서
エイチ・ツー・オー リテイリング株式会社 第92期営業報告書
エイチ・ツー・オー リテイリング
2011-06-23
[57]
웹사이트
老舗の阪神梅田本店、第I期棟がオープン―食にフォーカス、ファッションフロアもひと工夫
https://apparel-web.[...]
2018-06-20
[58]
웹사이트
阪神百貨店梅田本店 建て替え第Ⅰ期棟オープン、「食の阪神」前面に、“日常”に特化
https://www.ssnp.co.[...]
2018-06-04
[59]
웹사이트
日経ビジネス電子版
https://business.nik[...]
2020-02-19
[60]
뉴스
“食品の阪神百貨店”改装、OL向け婦人服も強化
産経新聞社
2011-03-09
[61]
웹사이트
梅田阪神ナショナルショウルームのご案内
https://web.archive.[...]
[62]
웹사이트
ドキハキ日記 2022年7月
https://abcradio.asa[...]
[63]
웹사이트
「阪神百貨店」2階フロアの香り、反響を呼び商品化へ
https://www.lmaga.jp[...]
2022-11-30
[64]
뉴스
阪神百貨店にメガ「いか焼き」登場 阪急との合併記念
朝日新聞社
2008-09-17
[65]
뉴스
アリバイはどこで作れば…梅田地下街「ふるさと名産」閉鎖へ
https://www.sankei.c[...]
2014-02-25
[66]
웹사이트
大阪・梅田の「アリバイ横丁」 60年の歴史に幕
https://www.nikkei.c[...]
[67]
논문
観光案内的梅田・堂島 阪神百貨店屋上遊園・屋上庭園
日経大阪中央販売 コーポレート部
2007-03-20
[68]
뉴스
阪神百貨店、本店屋上に緑の庭園 4月に植物50種以上
日本経済新聞社
2006-02-18
[69]
뉴스
阪神百貨店が改装オープン 近接の阪急から売り場移設も
四国新聞社
2009-08-26
[70]
뉴스
阪急・阪神百貨店「食い倒れ」初タッグ
産経新聞社
2011-05-12
[71]
뉴스
ヨドバシ梅田、22日開業 大阪・キタの商店街や百貨店、集客力に大きな期待
毎日新聞社
2001-11-16
[72]
뉴스
阪神西宮駅に3月、商業施設「エビスタ西宮」
神戸新聞社
2003-03-02
[73]
보고서
エイチ・ツー・オー リテイリング株式会社 第89期営業報告書
エイチ・ツー・オー リテイリング
2009-06-25
[74]
뉴스
キリンHD:JR尼崎の「ココエ」、東急不動産に売却
毎日新聞社
2011-11-11
[75]
뉴스
尼崎駅前の複合商業施設、10月20日開業 キリンHD
産経新聞社
2009-08-06
[76]
서적
麒麟麦酒株式会社五十年史
麒麟麦酒
1957-04
[77]
문서
開業時はココエあまがさき
[78]
뉴스
ココエあす開業 阪神間ひしめくライバル店
朝日新聞社
2008-09-17
[79]
뉴스
阪急阪神百貨店、「COCOE」核テナント「あまがさき阪神」オープン 阪急ベーカリー新業態も
日本食糧新聞社
2009-10-30
[80]
뉴스
H2O、新店にダンス教室、あまがさき阪神、来月開業。
日本経済新聞社
2009-09-21
[81]
뉴스
JR尼崎駅前に阪神百貨店 「食のの強み」で07年秋開業
神戸新聞社
2005-03-29
[82]
뉴스
新店効果で3年ぶり増収 阪急、阪神百貨店の親会社
神戸新聞社
2012-05-11
[83]
웹사이트
あまがさき阪神、食品館を残し撤退-開業から僅か6年
http://toshoken.com/[...]
都市商業研究所
2016-01-10
[84]
웹사이트
あべのキューズモール・あまがさきキューズモール 開業後初の大規模リニューアル!! 全体の約4割にあたる合計約160店舗対象
http://www.tokyu-fud[...]
東急不動産、東急不動産SCマネジメント
2015-11-04
[85]
뉴스
御影グラッセ内「阪神・御影」の食品売場 地元色強く打ち出す がんこ新業態・洋惣菜店も
日本食糧新聞社
2008-03-28
[86]
논문
台湾における小売業の進展と課題
福岡女子短期大学
2005-12
[87]
뉴스
くまもと阪神「県民百貨店」に、地域密着で生き残り、店名変更。1階にはオープンデッキ を設けるなど集客力向上を図る。
日本経済新聞社
2011-02-23
[88]
논문
クローズアップ熊本2007 熊本のトップ群像 くまもと阪神 県民百貨店 丸本文紀(まるもとふみのり)
地域経済センター
2007-02-28
[89]
뉴스
「県民百貨店」に店名変更へ くまもと阪神
熊本日日新聞社
2010-12
[90]
문서
1973年に開店時は伊勢丹と提携した「岩田屋伊勢丹」、のちに伊勢丹撤退で熊本岩田屋。
[91]
웹사이트
熊本の県民百貨店、15年2月に閉店へ 市の再開発で立ち退き
https://www.nikkei.c[...]
2014-08-13
[92]
웹사이트
県民百貨店閉店のお知らせ
http://kenmin-dept.c[...]
2014-08-12
[93]
보고서
株式会社阪急阪神百貨店「さんのみや・阪神食品館」閉店について
阪急阪神百貨店
2010-12-29
[94]
뉴스
阪神百貨店が三宮に食料品店 JR駅南側に来秋開業
日本経済新聞社
2005-05-24
[95]
뉴스
阪神百貨店が三宮進出 神戸新聞会館に食のフロア
神戸新聞社
2005-05-24
[96]
뉴스
阪神食品館が一時休業 ミント神戸
神戸新聞社
2010-03-17
[97]
뉴스
阪急阪神百貨店、神戸三宮の小型店「さんのみや阪神食品館」を閉店
日本経済新聞社
2010-12-28
[98]
간행물
“塗り変わる近畿商圏地図 史上空前といわれる不況が続くが、関西小売り業界の勢力も大きく変化”
実業界
1975-02-15
[99]
간행물
“都市の開発と再開発-2-国鉄吹田駅前再開発とその特色”
都市問題研究会
1977-02-20
[100]
간행물
“都市再開発事例紹介 国鉄吹田駅前”
近畿建築士会協議会
1983-05
[101]
보고서
阪神電気鉄道 第185期有価証券報告書
阪神電気鉄道
2006-06-30
[102]
보고서
阪神電気鉄道 第190期有価証券報告書
阪神電気鉄道
2011-06-30
[103]
문서
親会社だった南海電気鉄道は高島屋と関係が深かっ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